본문[]
이 문단의 내용은 번역된 것입니다 이 문단의 내용은 작성자가 쓴 글이 아니라 단순히 외국어로 된 내용을 번역해 온 것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을 수정하기 원하시는 분은 되도록 원문에서 내용을 추가하거나 의미를 바꾸지 마시기 바랍니다. 오역된 부분을 바르게 고치거나 오타를 수정하는 것 등은 괜찮습니다. 그리고 이해를 돕기 위한 해설은 괄호를 치고 서술하거나 아랫 문단의 '해설' 부분에 서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쓰레기 뿌요를 줄이는 포인트[]
- 불필요한 뿌요뿌요를 활용하기
- 1/8,1/16의 확률을 놓치지 않기
- 단차를 예쁘게 만들기
기본편[]
이번에는 이런 모양의 필드입니다. 연쇄를 어떤 식으로 늘려갈까요?
- 나쁜 예
위의 그림처럼 쌓으면 2번째 열과 3번째 열 사이에 단차(높이차)가 크게 발생하면 단차를 맞추기 위해 쓰레기 뿌요가 발생하게 됩니다.
- 좋은 예
반면 위의 그림처럼 단차가 2단까지라면 쌓기 쉬우므로 3단 이상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게 되도록 주의하여 쌓읍시다.
발전편[]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의식해도, 색패가 나쁜 등의 이유로 단차가 생겨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때의 대처방법을 소개합니다.
쿠션을 사용[]
윗쪽 그림은 앞서 말한 '나쁜 예'에 쿠션을 사용한 형태입니다. 단차를 완화시켜서 3열째의 로부터 손쉽게 연쇄를 이어나갈 수 있게 됩니다.
연쇄 꼬리로 단차를 완화[]
위의 그림도 마찬가지로 '나쁜 예'에 의 연쇄 꼬리를 달아서 단차를 완화시킨 모양새입니다. 이런 형태도 단차를 예쁘게 극복할 수 있으므로 연쇄를 잘 이을수 있게 됩니다.
첫 번째 꺾기를 한 후에는 토대와는 다르게 어쩔 수 없이 단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많기도 하고, 결과적으로 쓰레기뿌요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이런 두 가지 패턴을 사용해 봅시다.
관련 문서[]
전술해설 시리즈 목록 |
---|
전술해설-합체의 요령 |
전술해설-방해뿌요를 받기 |
전술해설-2더블 사용법(1) |
전술해설-2더블 사용법(2) |
전술해설-쓰레기뿌요 줄이기(1) |
전술해설-쓰레기뿌요 줄이기(2) |
전술해설-쓰레기뿌요 줄이기(3) |
전술해설-화력과 중반전의 양립 |
전술해설-받기를 늘리기 |
전술해설-싹쓸이전에서 싸우는 법 |
전술해설 시리즈 페이지로 돌아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