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요뿌요 위키
뿌요뿌요 위키

본문[]

이 문단의 내용은 번역된 것입니다

이 문단의 내용은 작성자가 쓴 글이 아니라 단순히 외국어로 된 내용을 번역해 온 것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을 수정하기 원하시는 분은 되도록 원문에서 내용을 추가하거나 의미를 바꾸지 마시기 바랍니다. 오역된 부분을 바르게 고치거나 오타를 수정하는 것 등은 괜찮습니다. 그리고 이해를 돕기 위한 해설은 괄호를 치고 서술하거나 아랫 문단의 '해설' 부분에 서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시작하며[]

본연쇄(주포)만 준비해서 중반전이 너무 약해...

중반전은 되지만 본연쇄 화력이 낮아...

이런 고민을 가지고 있는 뿌요러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회에서는 '본연쇄 중시형'과 '중반 중시형'의 각각의 시점에서 본연쇄와 중반전이 양립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본연쇄 중시 플레이어의 경우[]

Advanced tactics1 1

강해 보이는 모양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본연쇄 이외의 선택지가 없는 모양새이므로 선공을 당하면 패배할 확률이 높습니다. 이런 모양새로 쌓게 된다면 중반전의 마음가짐을 다잡아봅시다.

높다랗게 쌓는다[]

Advanced tactics1 2

그림에서 3열과 4열 사이에는 높이차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모양으로 높이차를 만든다면, 방해뿌요 2줄 정도의 공격이라면 버틸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화력의 공격에서도 본연쇄를 터트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적게 만들어집니다.

Advanced tactics1 tt

통칭 '소(小) 카운터'라고 합니다. 2연쇄 더블의 비교적 작은 공격을 당했을 때 맞은 후에 반격하는 기술입니다.

Advanced tactics1 tr

키 뿌요를 올린 후에 굳이 키 뿌요를 먼저 1연쇄로 없애 버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연쇄에 필요한 키 뿌요를 없애서 연쇄를 의도적으로 끊어 버리면 본연쇄가 4연쇄 재촉(연쇄유도)로 바뀝니다. 낙하 보너스가 있기 때문에 방해뿌요를 3개 정도는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상대방에 대한 견제도 겸할 수 있습니다.

키 뿌요의 연결을 늘린다[]

Advanced tactics1 3 Advanced tactics1 4 Advanced tactics1 5

위의 그림은 모두 꺾기 부근의 키 뿌요가 폭발하기 쉽도록 일부러 맞추어 놓은 형태입니다. 상대의 행동에 맞추어 본연쇄를 중간에 무너뜨릴 것인지, 아니면 유지하고 있을지 바꿀수 있으므로 좋은 형태입니다. 당연하겠지만 이 두 수법은 사소한 실수로 의도하지 않게 본연쇄를 폭발시켜버릴 수도 있으므로 키 뿌요 근방의 쓰레기 뿌요 처리에 각별히 유의해서 놓아야 합니다.

Advanced tactics1 6

다중꺾기를 할 시에는 화력 또한 내기 쉬운 형태가 되기 때문에 추천드립니다.

중반중시 플레이어의 경우[]

더블을 줄인다[]

Advanced tactics1 7 Advanced tactics1 8

적극적으로 깨부수기(짓누르기)를 노리는 것은 좋지만, 상대에게 완전히 읽혀서 상대가 본연쇄로 대응해올 경우 등으로 깨부수기 공격을 하기 곤란한 상황에 화력이 크게 떨어지는 케이스가 있습니다.

꺾기 근방에서 더블을 만들지 않고 연쇄 수를 늘려 나가는 것이 형태를 좋게 가져가고 연쇄수도 효율적으로 늘릴 수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부연쇄(부포)밖에 되지 않는 부연쇄는 피한다[]

Advanced tactics1 aaa Advanced tactics1 aab Advanced tactics1 aac

위의 그림과 같이 부연쇄(부포) 역할밖에 할 수 없는 부포는 될 수 있는한 피해 봅시다. 대전상대가 대응책을 가지고 있으면 부연쇄를 터트릴 수 없게 됩니다. 그렇다고 부연쇄를 보유하고 연쇄를 늘려 봤자 부연쇄가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최대로 늘릴 수 있는 연쇄량이 상당히 줄게 됩니다. 부연쇄를 만들 때에는 두 번째 꺾기나 연쇄 꼬리로 변용이 가능하도록 쌓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만약 그렇게 하기 힘든 상황인 경우 일찌감치 터트리거나 억지로라도 중반승부에서 가지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남는 형태를 의식한다[]

중반 중시형의 경우, 적극적으로 상대에게 먼저 본연쇄를 터트리도록 유도하는 플레이어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연쇄 유도를 잘 해냈다고 해도 정작 그 사이에 자신이 연쇄를 늘리는 데 실패해서 결국 패배한다는 전개의 시합도 왕왕 보입니다. 상대방에게 본연쇄를 터트릴 수 있을 것 같은 공격을 시도한다면, 그 후의 자신의 필드에 남아 있는 뿌요의 모양새도 연쇄를 늘리기 쉬운 모양이 되도록 의식해 봅시다.

Advanced tactics1 9Advanced tactics1 aad

위에서 왼쪽 그림은 다중 꺾기와 2연쇄 더블을 동시에 노릴 수 있으므로 얼핏 보아서는 좋은 형태로 보이지만, 파란색 발화로 2연쇄 더블을 하고 나면 남은 형태가 오른쪽 그림처럼 연쇄를 늘리기가 어려운 형태가 되기 때문에 2연쇄 더블을 발화해도 연쇄 늘리기에 실패할 리스크가 높습니다.

Advanced tactics1 10Advanced tactics1 aae

앞서서 살펴보았던 그림림과 거의 비슷하지만, 남는 형태를 의식해서 약간 다르게 쌓은 형태입니다. 이와 같이 남는 형태가 좋게 되도록 쌓으면 상대에게 본연쇄를 유도한 후에 헤매지 않고 연쇄를 잘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전술해설 시리즈 목록
전술해설-합체의 요령
전술해설-방해뿌요를 받기
전술해설-2더블 사용법(1)
전술해설-2더블 사용법(2)
전술해설-쓰레기뿌요 줄이기(1)
전술해설-쓰레기뿌요 줄이기(2)
전술해설-쓰레기뿌요 줄이기(3)
전술해설-화력과 중반전의 양립
전술해설-받기를 늘리기
전술해설-싹쓸이전에서 싸우는 법
전술해설 시리즈 페이지로 돌아가기